본문 바로가기
잡다한 투자/경제 이슈

[2022.05.23] 국내외 경제 증시 이슈 뉴스 - 바이든, 한미, 경제안보, 삼성전자, 현대차, 인플레, 원자재

by 나물캐는촌놈 2022. 5. 23.
728x90
반응형





[주요 신문사 경제 토픽]


★ 핵에는 핵으로 대응 – 조선일보
★ 北도발 땐 美전략자산 출동 ... 北核조준 한미훈련 더 강력해진다 – 조선일보
★ 한미 핵심기술 수출통제 협력 강화 ... 상설 경제안보대화 출범 – 동아일보
★ 공동성명 절반이 글로벌 전략동맹... 中 · 러 견제 뚜렷해져 – 조선일보
★ 바이든, 이재용 · 정의선 각각 만나 ... 이례적 세일즈 외교 – 중앙일보
★ 기업들 한미동맹 중심축으로 역할 커져 공급망 안정 기대 ... 中보복 ' 역풍 우려도 – 동아일보
★ 인플레 못 잡으면 정권이 바뀐다 ... 호주처럼 – 조선일보
★ 주재원 외식 끊고 유학생 귀국 고민 ... 곳곳 환율 비명 – 조선일보
★ 새로운 기업가 정신 실천 경제인 74 명 서명 – 중앙일보
★ 애플도 등 돌린다 ... 글로벌 기업들 中엑소더스 조짐 – 이데일리
★ 메타버스 · 자율주행에 필수 ... AI 반도체 90 조 시장 잡아라 – 중앙일보
★ 기업들 ESG 전담조직 있다 ... 1 년 새 54% → 89% - 한국경제
★ 경영계 52 시간제 탄력 운영, 파업때 대체근로 허용해달라 – 조선일보
★ 원자재값 뛰자 ... 납품단가 연동제, 하반기 시범운영 – 동아일보

화담숲 자작나무



[국내 산업 리포트 요약]


건강관리장비와 용품 - 체외진단 산업의 중장기적 성장성에 주목
▶ K-진단, 단기적 관점 보다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바라보자
▶ 글로벌 체외진단 산업의 특징과 트렌드
▶ 미래진단 기술: 유전체분석 기반 정밀의료 시장의 개화


기계 - 로봇: 현재가 된 미래
▶ 서비스 로봇이 고성장 주도
▶ 한국 기업들 서비스 로봇 경쟁력 확보 기대


디스플레이패널 - 하반기 애플 성수기 낙수 효과 기대
▶ Set : 수요 둔화 및 공급망 차질 타격
▶ Panel : BOE Flexible OLED 생산 감소 지속
▶ Material : 모바일 DDI 판가 하락 우려


반도체와 반도체장비 - 수요 둔화 우려 속 아웃퍼폼한 아시아 메모리와 파운드리
▶ What’s New: DRAM 현물가 하락세 지속
▶ 견조한 업황에도 부진했던 주가
▶ 생산업체 완만한 실적 증가 전망 ?① 매크로 불확실성 완화, ② 공급 제약
▶ 투자전략 ? 대형주 완만한 실적 개선, 소부장의 실적 매력 부각


석유와 가스 - 휘발유, 윤활기유, PX/BTX 마진은 왜 급등하나
▶ 유가(↑): WTI 113.2$/bbl(선/ +2.7$/bbl, +2.5%), Dubai 108.1$/bbl(현/ +1.4$/bbl, +1%). 사우디 6월 OSP(Arab Light) 4.35$/bbl(MoM -5.0$)
▶ 정제마진(↓): 평균 복합정제마진 20.8$/bbl(-4.3$/bbl). 정유사의 등/경유 수율 증대로 등/경유 마진은 하락했으나, 오히려 휘발유가 초강세
▶ 미국 정유사 가동률 91.8%(WoW +1.8%p) 기록. 중국 Teapot/국영 가동률 각각 58.1%(WoW +3.2%p)/78.1%(WoW 보합)


소프트웨어 - 세분화된 시장, 영역을 넓히는 종목이 답이다
▶ 사이버보안에 대한 중요도 상승, IT보안 시장 밝은 성장 전망
▶ 사이버 보안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변화
에너지장비 및 서비스 - 미국 주도 IPEF 참여로 국내 재생에너지 확대 불가피
▶ 대한민국 IPEF 참여 발표, 호주, 태국 등 참여 국가 늘어나고 있어
▶ IPEF 주요 목적에 탈탄소화와 청정에너지 확보, 공급망 회복 등이 포함
▶ RE100, 탄소국경조정세에 이어 IPEF까지, 재생에너지 시장 확대 밖에 방안 없어


은행 - 경기 침체 우려 확산으로 은행주 조정 흐름 지속
▶ 전주 은행주는 1.4% 하락해 KOSPI 상승률 1.3% 대비 2.7%p 초과하락하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였음
▶ 전주 특징주는 우리금융으로 4주 연속 특징주로 기록 중
▶ MSCI의 우리금융 유동비율 상향 철회의 이유는 과거 예보 지분 매각분에 대한 lock up 조항 관련해 검토가 필요했기 때문으로 영구적인 철회가 아니라 단지 이연된 것으로 추정
▶ 지금은 금리 상승으로 이자이익은 크게 늘어나는 반면 제도적 이슈 등으로 대손비용은 억제되는 국면
▶ 2023년부터는 대손 부담이 다소 증가할 가능성 높음. 건전성 악화 현상 표면화시 투자심리 위축 예상


자동차 - 2022년 하반기 전망: 완성차의 슈퍼파워에 주목하자
▶ 공급망 관리 능력에 따라 달라지는 완성차의 운명
▶ 미국 내 전기차 공장 신규 투자 공식화
▶ 국내 공장의 전기차 공장 전환 투자도 구체화
▶ 양산 능력이 당분간 전기차 점유율을 결정할 전망
▶ 현대차그룹 - $105억 달러 투자를 통해 미국 현지화 확대 : 총 $105억 달러 투자 발표 (조지아주 EV 공장 & 배터리 공장 건립 $55억 + 차세대 기술/먹거리 관련 $50억)
▶ 연 30만대 규모의 조지아 EV 공장은 2023년 상반기 착공 & 2025년 상반기 생산 개시 예정 (배터리 공장 계획은 향후 발표)
▶ 북미 현지 생산 확대 & 미국 비중이 큰 부품 업체들에게 유리. 단 미국 시장의 한국 공장 의존도는 낮아질 전망


전자장비와 기기 - Specialty와 Commodity의 시간차
▶ Car : 2022년 전기차 시장 930만대 전망
▶ Cell : LGES 큰 폭 상승
▶ Material/Equipment : 소재 기업 주가 급등


제약 - 터널에서 방향 잡기
▶ 터널을 지나는 제약/바이오, 그래도 바닥에 가깝다


조선 - 상하이발 컨테이너 운임지수 드디어 반등
▶ 신조선가 지수는 전주 대비 0.78 상승하여 158.98 기록,
▶ 중고선가 지수는 지난 주 대비 0.13포인트 상승한 212.30 기록
▶ SCFI(상하이발 컨테이너 운임지수) 17회 연속 하락의 고리를 끊고 반등, 가스선 운임 한여름에 강세


철강 - 한·미 정상회담의 국내 철강시장 시사점
▶ 국내 철강가격: 수요가들의 구매 관망, 중국산 수입 가격 하락 및 원재료 가격 하락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큰 폭 하락
▶ 중국 철강 유통가격: 중국 경기 둔화 우려(부동산 개발업체 부도 리스크 확대, 4월 PMI 하락)와 원재료 가격 하락으로 전반적으로 약세
▶ 산업용 금속가격: 미달러 약세 전환과 중국의 통화정책 완화 및 페루 메이저 동광산 시위에 따른 공급 차질 우려로 상승


통신장비 - 선택과 집중
▶ 변수와 우려 속 격동의 상반기, 하반기까지 이어질 가능성 제한적
▶ 해답은 결국 실적변수 다각화(고객사 다변화 & 매출처 다각화)


판매업체 - 매크로 불확실성 해소를 염두에 둔다면
▶ 유통: 백화점/편의점 업체들 선전 전망
▶ 화장품: 중국 소비 회복을 가정한다면


핸드셋 - 변동성 확대 구간에는 역시 실적
▶ 리뷰 및 업데이트: 2주 연속 실적주들이 선방
▶ 전망 및 전략: 실적주들 재부각. 악재 선반영 업체도 관심
▶ 일정 및 예정: 중국 4월 스마트폰 출하량과 글로벌 4월 판매량"
▶ 수요 Peak-out 우려 2022년 하반기-차별화되는 제품군 주목 필요. 폴더블


화학 - 휘발유, 윤활기유, PX/BTX 마진은 왜 급등하나
▶ 납사(↓): 902.8$/톤. WoW -2.2%. 1주 하락 / US 프로판(↓): 634.2$/톤. WoW -2.8%. 3주 하락. 사우디 5월 CP 850$/톤(MoM -9.6%)
▶ 에틸렌(↓)/프로필렌(↓)/벤젠(↑)/SM(↓): 에틸렌(-70$, -5.7%) 프로필렌(-55$, -4.9%), 벤젠(+7.0$, +0.6%), SM(-3.5$, -0.3%)
▶ 합성수지(↘): HDPE(보합), LDPE(-20$, -1.4%), LLDPE(보합), PP(-25$, -2.1%), PVC(-100$, -7.2%), ABS(-35$, -1.9%), PS(보합)



#경제이슈#경제뉴스#국내외경제증시이슈#증시이슈#산업리포트요약#주린이#재테크#머니테크#코스피#코스닥#한국증시#미국증시#아시아#일본#중국

728x90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