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잡다한 투자/경제 이슈

[2022.02.18] 국내외 경제 증시 이슈 - 우크라이나,러시아, 전쟁, 금리인상..

by 나물캐는촌놈 2022. 2. 18.
728x90
반응형

[주요 신문사 경제 토픽]


★ 400조 유동성 파티 ’ 계산서가 날아온다 - 한국경제

★ 한국경제 재정수지·경상수지 쌍둥이 적자 오나 - 조선일보

★ 한국 밥상물가 상승률 34.8% 미국의 3 배 - 중앙일보

★ 글로벌 경제 세번째 오일쇼크 ’ 덮치나 … 120 달러까지 오를 수도 - 조선일보

★ 전운 가시면 공급망 회복 날씨·오미크론이 또 발목 - 중앙일보

★ 美증시 이끌던 독수리 5 형제 균열 페북·넷플릭스 추락 애플·아마존·구글은 더 강해졌다
FAANG 시대 저물고 MANTA 달려온다 - 조선일보

★ 제조업 상장사 39% 부실징후 … 금융위기 때보다 많아 정책자금으로 버티던 부실징후 기업들 코로나 명목으로 또 정책자금 받아 - 조선일보

★ 비건·리퍼트 … 미국 전직 모시는 기업들 - 중앙일보

★ 반도체 기업 TSMC 가 왜 억대 연봉 에 모셔가는 뜻밖의 전공 - 한국경제

★ 잇단 수백억 회삿돈 횡령 한탕주의 투자 광풍이 부른 그늘 - 중앙일보

★ 대형마트 2 년새 22 곳 문 닫았다 - 아시아경제


레드 블렌드 와인 - 까레(CARE)
레드 와인 중에서는
정말 가장 기본이 되고
가성비로 편하게 접할 수 있는
친숙한 와인인데요!
늘 집에 사두고 마시는
까레 레드 와인!



[국내외 경제 이슈]


★ 한국은행 24일 금통위서 4번째 기준금리 인상할까. 이주열 총재 3월 임기 말 앞두고 추가 인상 가능성 높아.
- 공급망 차질 + 우크라 사태 겹치며 국내외 물가 가파르게 상승, 연준 3월 빅스텝론 맞물리며 시중금리 이미 가파르게 상승.

- 24일 기준금리 25bp 올린 1.5%로 인상 가능성, 올해 말 예상 기준금리 전망치도 1.75%에서 2%로 상향 조정.

- 24일 기준금리 추가인상 땐 주택담도대출금리 6% 시대 바로 개막.


★ 우크라 사태 지금까지는 러시아가 유리했지만, 향후 변화에도 강공일변도로 나갈 수 있을까.
- 겨울이 끝나면서 에너지 수요 둔화 가능성에 러시아 우크라 상황 장기화 땐 입지 갈수록 불리, 단시간 내에 의도한 목표 마무리 가능성.

- 이란 핵 합의 금명 타결 가능성에 미국 이란 경제제재 풀릴 땐 연내 하루 100만 배럴 수출 길 열려 원유시장 공급난 숨통.
우크라 전쟁 발발 땐 국제유가 최고 배럴당 150달러 돌파 전망 우위 속 유가 향방 주목.
국제유가 급등락 가능성 상존.

- G7 러시아 우크라 침공 땐 군사적 대응 경제제재 등 동시 단행 한목소리,
우크라 사태는 향후에도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과제로 계속 작용할 것.

- 프랑스-독일 정상회담으로 우크라 긴장 해소 대안은 충분히 부상.
11월 중간선거 앞두고 유가 상승 등 인플레 우려에 최저 지지율을 보이고 있는 바이든 대통령, 러시아 침공 저지에 시간 갈수록 총력 집중.

- 러시아에게 유일하게 우방 역할 중국 경기침체도 큰 부담.
국제유가 급등 식량난 가중으로 부동산 사태 등으로 가뜩이나 버거운 중국 경제 올해 경제성장률 하향 가능성 농후.


★ 우크라 전쟁 공포 + "연준 액션할 때"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총재 또 강경 매파 발언으로 뉴욕증시 3대 증시 일제히 급락.
- 다우지수 1.78%, S&P500지수 2.12%, 나스닥지수 2.88% 급락 마감. 월마트 급등에 소비재 업종만 유일 상승.

- 국제유가 WTI가격 2% 하락한 배럴당 91.76달러 마감..

- 국채가격 일제 급등, 10년물 국채금리 3.91% 급락한 1.965%, 2년물도 3.57% 급락한 1.474%, 30년물도 2.77% 오른 2.299% 기록.


★ "美 오미크론 감소에 노동시장 회복세"(WSJ) → 인력난 따른 공급망 차질 해소 기대.
- 미국 인구조사국 16일(현지시간) 지난달 26일~이달 7일까지 건강 이유 실직자 수 880만 명에서 780만 명으로 100만 명 감소.

- 오미크론 확진자 감소 따른 인력 복귀 땐 건강 따른 실직자 수 감소 폭 더 커질 듯.

- 지난달 25~54세 노동인구 100만 명 현장 합류, 적극적 구직활동 비중 노동력참여율 지난달 62.2%, 팬데믹 이후 최고치 기록.


국내외 경제 이슈 출처 : 이코노믹리뷰(http://www.econovill.com)

728x90
반응형

댓글